9월 재산세 납부기간 및 기업은행 ATM기 납부 방법
7월에 이어 9월도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토지, 주택(아파트)소유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2025 재산세 납부기간 맞춰서 납부를 하셔야 하는데요. 납부 기간을 넘겨버리면 가산금이 붙기 때문에 일찌감치 기업은행 ATM기를 사용해서 납부하고 왔습니다.
재산세 납부방법이 몇 가지 있는데 저는 은행 ATM 납부가 편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간단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재산세란?
매년 6월 1일 현재 재산의 소유자에게 7월과 9월 두 차례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납부는 보통 연 2회 나눠서 하게 되는데요. 주택의 경우 세액이 20만 원 이상이면 7월 10만 원, 9월 10만 원 이렇게 절반씩 나눠서 내게 됩니다. 20만 원 미만일 경우 7월에 전액 부과됩니다.
재산세가 20만 원정도 나왔다면 아파트 시세가 3~ 5억 원대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차 9월 재산세 납부기간 언제까지
2025 재산세 납부기간 1차 7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7월 16일 ~ 7월 31일 까지 였습니다. 그렇다면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 일까요?
- 9월 16일 화요일 ~ 9월 30일 화요일
9월 16일부터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깜빡하면 기간을 넘길 수 있어서 저는 일찍 납부하였습니다.
2025 재산세 납부방법
납부 방법은 여러 가지인데요. 고지서 앞면의 가상계좌로 납부하는 방법, 전국 은행 ATM기로 납부하는 방법, 인터넷 납부, 모바일 납부, 행정복지센터 카드 납부, ARS 전화 납부 등이 있습니다.
1. 전용계좌 납부
2. 금용기관 납부
3. 인터넷 납부 (위택스, 인터넷지로)
4. 모바일 납부
5. 카드납부
6. ARS 전화 납부 (142-211)
저는 근처에 은행에 있어서 금용기관 납부(은행 ATM기)를 선택하였습니다.
기업은행 ATM기 재산세 납부 방법
준비물 : 본인 통장
1. 기업은행 ATM기를 터치하여 지로/ 공과금, 지방세 국세 납부를 선택합니다.
2. 본인 카드 또는 통장을 넣습니다.
3. 납부할 요금 종류를 선택합니다. 지방세 납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4. 납부 방법을 선택합니다. 저는 통장, 현금카드 본인납부를 선택하였습니다.
5. 비밀번호를 누릅니다.
6. 납부해야 할 요금을 화면으로 확인하고 납부합니다.
기업은행 ATM 재산세 납부하기 생각보다 간단하더라고요. 저도 처음에는 헷갈렸는데, 한번 해보니 쉽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기업은행이 아니더라도 농협, 신한, 우리, 국민 등 본인 명의 통장이 있으면 고지서 확인할 필요 없이, 은행 ATM기로 재산세 얼마 나왔는지 확인하고, 납부까지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방법으로 9월 재산세 납부기간 내에 납부를 하였는데, 따로 편한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9월 16일화요일 부터 9월 30일 화요일까지 납부기간만 잘 지키시면 됩니다. 기간을 넘겼을 때의 기본 가산금은 재산세의 3% 이며, 시간이 지날 때마다 증가산금도 붙습니다.
올해 재산세도 납부기간에 맞춰서 잘 납부하였습니다. 납부해야 할 재산세가 있는 분들이라면 저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기간을 지켜서 납부 완료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