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 지내는법 시간 날짜계산
불교 49재에 대해 한번은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49재는 49일 동안 고인을 위해 재를 올리는 불교 장례식입니다. 불교 신자가 아닌 분들도 49재를 지내기도 하니 49재 지내는법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소할 수 있는 49재란 무엇인지 지내는 시간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49재는 불교의 장례의식으로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49일 동안 7번의 재를 지내는 것입니다.
숫자에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죽은 사람은 49일 동안 이승과 저승 사이에 머물게 된다고 합니다. 이 기간에는 살아 있을 때 한 일에 대한 심판을 받게 되는데 총 7번을 받습니다. 49일 되는 날에 최종적으로 심판을 받아 환생을 하게 됩니다.
49재 지내는 이유는
7일마다 불경을 잃고, 공양을 하는 등 재를 지내면 공덕이 쌓여 고인이 좋은 곳에 환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칠칠재라고도 하는 49재는 고인이 다음 생에 좋은 곳에 환생하기 바라는 마음으로 지내는 것입니다.
49재 지내는법의 경우 집에서 직접 지내거나 절에서 49재를 지내기도 합니다. 비용이 부담된다면 49재 지내는 시간, 날짜를 알아두고 직접 지냅니다.
49재를 지내기 위해서는 49재 지내는 시간과 날짜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49재 날짜계산을 어렵게 생각하거나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데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49재 날짜계산 방법
고인이 돌아가신 당일을 1일로 계산한다.
7월 15일 돌아가셨을 경우 7월 21일 초재가 됩니다. 7일마다 이재, 삼재, 사재, 오재, 육재가 되며 마지막 49일째 되는 날 9월 1일이 막재가 됩니다.
49재 날짜계산이 어렵다면 포털사이트의 날짜계산기를 활용합니다.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편하게 막재날까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49재 지내는 시간
차례는 아침에 지내고 기제사는 저녁에 지내는데 49재는 지내는 시간은 언제인가요.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절에서는 오전 9시부터 11시쯤에 하는 사시예불을 끝내고 지낸다고 합니다.
따라서 오전 11시쯤이 49재 지내는 시간입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에 지내는 것이지만 가족이 49재 시간 맞춰 모일 수 있게 오후에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집에서 49재 지내는법
- 집안에서 조용하고 밝은 곳에 영정 사진, 위패를 올립니다.
- 고인이 즐겨 먹었던 음식과 술을 올립니다.
- 밥, 국, 삼색 나물, 삼색 과일 등을 올립니다.
- 큰절 두번 반절 한번을 합니다.
49재 지내는법을 어렵게 생각하시는데 특별한 절차가없습니다. 초재부터 육재까지는 고인이 좋아했던 음식을 간단하게 올리고 49일째 되는 막재에 기제사 형식으로 지내면 됩니다. 마지막 날에는 생전에 입던 옷이나 소지품을 태우기도 합니다.
고인을 위한 마음이 중요하니 49재 지내는법으로 너무 부담갖지 않았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