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아버지 지방쓰는법 제사 지방쓰기


아직은 제사를 지내는 집이 많으며 제사를 지낼 때 반드시 필요한 지방 또한 직접 쓰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머니 아버지 지방쓰는법이 헷갈린다면 프린터로 뽑아 쓰거나 한글로 지방쓰는법도 있는데 정성스레 한자로 쓴 지방을 더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이 아버지 지방쓰는 것을 보면 한자가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데 그 뜻을 알고 이해하면 제사 지방쓰기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어머니 아버지 지방쓰는법 때문에 난감하지 않도록 미리 알아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지방을 쓰기 위해서는 종이(한지), 붓(검정펜)이 필요합니다. 한지는 가로 6cm, 세로 22cm로 자르고 위쪽 모서리를 둥글게 오립니다. 모서리를 둥글게 만드는 것은 천원지방을 상징합니다. 뜻은 하늘고 둥글고 땅은 모나다 입니다. 



어머니 아버지 지방쓰는법은 예시를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왼쪽에는 아버지를 오른쪽에는 어머니를 써야야 하며 한 분이라면 가운데에 쓰면 됩니다. 


아버지 제사 지방쓰는법 한자, 한글

가장 위에 쓰는 한자는 현(顯) 입니다. 고인을 모신다는 뜻입니다. 다음으로는 고인과의 관계를 쓰고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를 씁니다. 고인의 직위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학생(學生)이라고 씁니다. 남자 조상의 이름으로 부군(府君)을 쓰고 마지막으로 神位(신위)라고 쓰면 됩니다.


  • 한자로 하면 顯考學生府君神位 입니다.
  • 한글로 하면 현고학생부군신위 입니다.


아버지 지방쓰는법 한자가 아렵다면 한글로 작성하셔도 됩니다.



어머니 제사 지방쓰는법 한자, 한글

아버지 지방쓰는법과 다르게 본관과 성씨를 써야 합니다. 미리 알아둘 수 있었으면합니다. 


가장 위에 나타날 현(顯)을 쓰고 고인과의 관계를 씁니다. 어머니는 죽은어미 비(妣)를 써야 합니다. 고인의 벼슬이 없으면 유인(孺人)이라고 쓰고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마지막으로 神位(신위)를 쓰면 됩니다.


  • 한자로 하면 顯妣孺人金海金氏神位 입니다.
  • 한글로 쓰면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 입니다.


부모지방 양식이 헷갈린다면 사진을 찍어 두고 쓸 때마다 한번씩 확인하면 됩니다.


정성스럽게 지방을 작성하고 고인이 좋아하시던 음식으로 제사상을 차례서 고인을 위로하고 추모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킹식자재마트 옥련점 오픈 전단지 행사기간 정보

윤달은 몇년만에 오는지 윤달 주기 알기

김장김치 10포기 양념 비율 고추가루 양

배추 절이는법 배추30포기 20포기 소금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