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이 계산법 네이버 다음 계산기 사용


만나이 계산이 헷갈린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2023년 6월 부터는 만나이를 적용하기 때문에 미리 만나이 계산법을 알아두고 자신이나 주변사람의 만나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편하게 포털사이트 만나이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니 어렵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우리나라는 총 3가지의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어나자마자 바로 한 살이 되는 한국나이(세는나이),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연나이,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1년이 지날 때마다 1살이 늘어나는 만나이 등이 있습니다.



한국나이의 경우 해외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국친구를 사귈 때 불편함이 있었는데요. 한국나이로 한번 더 계산하거나 태어난 연도를 물어 봐야 했습니다.


한국나이, 연나이, 만나이를 잘 모르겠다면 예를 확인해보세요.

1993년 12월 31일에 태어난 사람의 나이는 몇 살일까요. (기준일은 2022년 12월 30일입니다.) 


  • 한국나이 2022년 - 1993년 + 1 = 30살 
  • 연나이 2022년 - 1993년 = 29살 
  • 생일 지나지 않은 만나이 28살


만나이로는 생일이 지났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생일이 지났다면 2022년 - 1993년 = 29살이며 생일지 지나지 않았다면 2022년 - 1993년 - 1 = 28살 입니다. 한국나이와 비교하면 무려 2살이나 어려집니다.



1~2살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분들도 있지만 나이를 먹는 것이 유쾌하지 않은 분들도 많습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서둘러 결혼을 해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 1~2살이 어려지는 것이 이득이 됩니다. 29살과 30살, 39살과 40살은 한살 차이지만 심리적으로는 엄청 큰 차이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만나이 계산법이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어려지는 것은 좋은데 동갑일 경우 나이 계산이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일이 지났는지 안 지났는지에 따라 1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생일이 지난 친구는 1살이 어려지지만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은 친구는 2살이 어려지기 때문에 나이로 서열 정리하는 사람이 있으면 분위기가 복잡해 질 수도 있습니다.



만나이 계산법을 알고 있으면 본인과 남의 만나이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더 편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면 됩니다. 


만나이 계산법 :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 만나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1 = 만나이)


저는 가족이나 지인, 주변사람의 생년월일 만나이 계산이 헷갈릴 때 다음 네이버 만나이 계산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만나이 계산기라고 검색하면 됩니다. 달력에서 자신의 생년월일을 클릭하거나 직접 출생일, 기준일을 입력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앞서 예를 들었던 1993년 12월 31일에 태어난 사람의 나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출생일에 1993.12.31 기준일에 2022.12.30 입력 후 계산을 해보니 만 28세라고 나왔습니다. 만나이 계산법으로 계산한 것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계산법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자주 해보면 익숙해 질 것입니다. 2023년에는 어려진 나이만큼 화이팅 넘치게 생활해야 겠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윤달은 몇년만에 오는지 윤달 주기 알기

김장김치 10포기 양념 비율 고추가루 양

킹식자재마트 옥련점 오픈 전단지 행사기간 정보

연수 이음카드 재발급 이걸 잊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