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맞춤법 검사기 사용하기
글을 쓸 때 맞춤법이 틀리지는 않았나 신경쓰인다면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틀린 문법이나 단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르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포털사이트의 맞춤법 검사기부터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는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즐겨 찾기를 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여 틀린 것은 없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왼쪽에 원문을 직접 작성하거나 복사한 글을 붙여 넣은 후 검사하기를 클릭합니다. (검사 가능 글자 500자) 직접 글을 써서 교정 결과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급하게 쓰느라고 않았나를 안았나로 쓴 것이 틀렸다고 빨간 글씨로 표시되었습니다. 빠르게 글을 쓰다 보면 맞춤법이 틀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가 유용합니다. 알면서도 틀릴 수 있어서 중요한 글의 경우 검사기로 검사를 하는 편입니다.
띄어쓰기도 틀린 부분이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었습니다. 신경쓰인다는 띄어쓰기가 필요합니다.
왜 틀린 걸까 궁금함을 해소하고 싶다면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로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를 추천합니다. 똑같은 문장을 원문에 입력한 후에 검사해 보니 틀린 이유가 나와 있었습니다.
신경 쓰인다면 이라는 글은 문장 성분이 달라서 띄어 써야 한다고 합니다. 목적어와 서술어의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생략된 조사를 살려 쓸 경우 문장이 더 좋아진다는 것도 도움말로 나와 있습니다. 문서량에 따라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아쉽지만 틀린 맞춤법을 제대로 배울 수 있으며 다음에는 실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는 다양한 사이트에 있으며 잡코리아에도 있습니다. 한국어 문법 검사는 자소서를 작성할 때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군데에서 확인하는 분도 있습니다. 잡코리아 한글 문법 검사기의 장점으로 틀린 단어를 대체어로 적용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붉은색 단어를 클릭하여 맞춤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에서도 틀린 맞춤법과 대체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을 참고하여 다음에는 틀리지 않았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