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사용하기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을 비롯하여 생활습관병과 관상동맥질환, 뇌혈관 장애, 수면 무호흡증, 뼈 관절 질환, 월경 이상까지 유발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비만인지 아닌지를 서둘러 파악하고 개선해야 하며 그 방법으로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내가 비만인지 정상인지를 아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건강하다고 생각했는데 마른 비만인 경우도 있으며 체중이 많이 나가도 근육이라고 생각했는데 지방인 경우도 있습니다.
나는 정상 몸무게 인걸까요. 간단하게 자신의 비만도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로 계산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비만도 계산기라고 입력 후 검색을 합니다.
키와 체중, 나이를 모두 정확하게 입력을 합니다. 이는 신체질량지수 BMI를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입력 사항입니다.
예를 들어 여성이며 160cm에 체중 60kg이 나가고 40세일 경우 비만인 걸까요.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로 계산한 결과 비만은 아니지만 과체중이라고 나왔습니다. BMI 지수가 23.44이며 동일 연령대 100명을 기준으로 55번째라고 합니다.
160cm, 60kg 은 과체중이지만 방심하며 생활하다 64kg이 되면 비만입니다. 60kg인 지금은 비만이 아니지만 과식을 하거나 운동을 게을리 할 경우 비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를 시작해야 하며 가능한 정상체중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외모적인 변화를 원한다면 BMI지수 18.5~20까지 줄여야 합니다.
신체질량지수(BMI)
~ 18.5 저체중
18.5 ~23 정상
23 ~ 25 과체중
25 ~ 30 비만
30 ~ 고도비만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대신 직접 계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신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신장(m)÷신장(m) 공식으로 계산 가능합니다.
BMI = 60÷1.6÷1.6= 23.44 과체중
표준 체중을 알아보는 공식도 있습니다.
표준 체중 = 신장 (m) × 신장 (m) × 22
1.6×1.6×22 = 56.32
시간이 있을 때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로 확인해보시고 BMI 25 이상으로 나왔다면 식이, 운동 등으로 체중을 감량해야 합니다.
우선 체중을 측정하는 습관을 만들고 자신의 몸무게, 섭취한 음식, 운동 등을 일기처럼 쓰도록 합니다. 그럼 어떤 문제가 있는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체중을 감량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